goforit31

CGV의 몰락과 OTT 대중화: 한국 영화산업의 대전환 본문

경제

CGV의 몰락과 OTT 대중화: 한국 영화산업의 대전환

두번째인생31 2025. 3. 15. 09:00

 

목차

들어가며: 위기에 처한 한국 최대 영화관 체인 CGV

예전에 가족들과의 주말 나들이나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로 손에 꼽히던 CGV가 몰락하고 있습니다. 오랜만에 극장을 가보면 티켓값의 상승과 팝콘, 음료 등 부대 비용의 증가로 한 명당 3만원은 소비하는 것 같습니다. 이럴 바엔 그냥 집에서 편하게 OTT를 구독하는 게 나은 상황이 되었고, 이러한 소비자 인식 변화가 국내 CGV의 몰락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한때 한국 영화 시장의 상징이었던 CGV는 이제 희망퇴직과 구조조정이라는 쓰라린 현실과 마주하고 있습니다. 주말마다 매진 사례를 기록하던 멀티플렉스 체인은 어떻게 이런 위기에 처하게 되었을까요? 영화 한 편을 보기 위해 부담해야 하는 비용 증가, OTT 서비스의 급부상, 그리고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을 중심으로 CGV의 현재와 미래를 분석해보겠습니다.

CGV 희망퇴직과 경영난의 실상

CGV 경영 위기의 주요 지표

2023년 말부터 시작된 CGV의 희망퇴직은 단순한 인력 조정이 아닌 생존을 위한 절박한 선택이었습니다. 2024년 현재까지 이어지는 구조조정의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경영 위기 요소들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 연속된 영업적자: 코로나19 이후 극장 관객 수가 예상만큼 회복되지 않으면서 분기별 적자 기록
  • 천문학적 부채: 전국 지점의 임대료, 인건비 등 고정비용이 매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발생
  • 매출 하락 추세: 2019년 대비 2023년 매출은 약 30% 감소, 2024년에도 회복세 미미
  • 지점 폐쇄: 수익성이 낮은 일부 지점의 폐점 및 여러 지점의 운영시간 단축 시행

 

출처 : https://www.mhn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9224

 

OTT 서비스가 영화 산업을 뒤흔든 이유

콘텐츠 소비 패턴의 혁명적 변화

OTT(Over-The-Top) 서비스의 급속한 성장은 영화 소비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주요 OTT 플랫폼의 한국 시장 점유율

  • 넷플릭스: 약 1,100만 구독자
  • 디즈니+: 약 400만 구독자
  • 티빙: 약 500만 구독자
  • 웨이브: 약 450만 구독자

OTT가 가져온 영화 산업의 3가지 큰 변화

  1. 경제성과 편의성
    • 월 1만원 내외의 구독료로 무제한 콘텐츠 이용 가능
    • 영화관 티켓 1장 가격으로 한 달 내내 다양한 콘텐츠 시청
    • 이동 시간과 교통비 절약, 원하는 시간에 자유롭게 시청
  2. 영화 제작 및 배급 패러다임 변화
    • 극장 개봉과 OTT 동시 출시 전략 증가
    • '넷플릭스 오리지널', '디즈니+ 오리지널' 등 플랫폼 독점 콘텐츠 확대
    • 기존 '극장→DVD→케이블TV' 순서의 유통 창구 붕괴
  3. 소비자 인식과 기대치 변화
    • 고화질 대형 TV와 홈시어터 시스템의 보편화로 가정에서도 영화관급 경험 가능
    • '보고 싶은 영화를 기다렸다가 볼 필요 없이' 즉시 소비하는 문화 정착
    • 극장만의 특별한 가치에 대한 소비자 기대 상승

코로나19가 가져온 영화 관람 문화의 변화

팬데믹의 직격탄, 그리고 지속되는 영향

코로나19 팬데믹은 CGV를 비롯한 영화관 산업에 전례 없는 타격을 입혔습니다:

코로나19 전후 CGV 관람객 수 변화

연도관람객 수2019년 대비 비율

2019 100% (기준) 100%
2020 약 2,500만명 약 25%
2021 약 3,000만명 약 30%
2022 약 5,500만명 약 55%
2023 약 6,500만명 약 65%

코로나19가 가져온 3가지 장기적 변화

  1. 소비자 행동 패턴의 영구적 변화
    • '집콕' 문화의 정착과 가정 내 엔터테인먼트 소비 증가
    • 재택근무, 온라인 쇼핑 등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보편화
    • 밀폐된 공간에 대한 심리적 거부감 지속
  2. 영화 제작과 개봉 전략의 변화
    • 글로벌 영화 제작 일정 차질로 인한 블록버스터 공급 부족
    • 중소규모 영화의 OTT 직행 현상 증가
    • 극장 독점 상영 기간(윈도우) 단축
  3. 차별화된 관람 경험의 중요성 부각
    • IMAX, 4DX 등 특수 상영관의 상대적 강세
    • '특별한 경험'으로서의 영화관 가치 재정의 필요성 증가

CGV의 생존 전략과 미래 전망

위기 극복을 위한 CGV의 대응 방안

위기 상황에서 CGV는 다양한 생존 전략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단기 생존 전략

  • 비용 구조 개선: 인력 효율화, 임대료 재협상을 통한 고정비 절감
  • 상영관 최적화: 비수익 지점 폐쇄 및 핵심 지역 집중 전략
  • 가격 정책 조정: 요일별, 시간대별 차별화된 가격 정책 도입

중장기 혁신 전략

  • 프리미엄 경험 강화: IMAX, 4DX, SCREENX 등 차별화된 상영 기술 확대
  • 대체 콘텐츠 다각화: e스포츠 중계, 콘서트, 공연 실황 등 비영화 콘텐츠 상영
  • 디지털 전환 가속화: 모바일 앱 고도화, 온라인 마케팅 강화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app=desktop&v=5ll4TWD6z1Y&pp=ygUFI2fsl7Q%3D

영화관의 뉴노멀: 한국 영화 산업의 향후 과제

변화된 환경에서의 공존과 상생 모델

OTT와 영화관은 대립 관계가 아닌 상호보완적 관계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1. 콘텐츠 창작과 소비의 새로운 생태계
    • 다양한 플랫폼을 통한 콘텐츠 창작 기회 확대
    • 니치 장르와 실험적 작품의 활성화
    • 창작자들의 수익 모델 다변화
  2. 영화관의 새로운 가치 제안
    • 단순한 '영화 관람' 너머의 종합 문화 체험 공간으로 진화
    • 커뮤니티 중심의 특별 이벤트와 팬 미팅 활성화
    • VR, AR 등 신기술 접목을 통한 차별화된 경험 제공
  3. 정책적 지원과 산업 구조 개선
    • 영화 다양성 확보를 위한 스크린 쿼터 제도 재검토
    • OTT 플랫폼과 영화관의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
    • 중소 영화관 지원을 통한 산업 생태계 다양성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