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급등하는 원두 가격과 커피값 인상

by 두번째인생31 2025. 2. 1.

 

회사에 출근하면 습관적으로 아침에 커피 한잔씩을 마시는데요

사무실에 있는 커피는 복지차원에서 500원에 마실 수 있다 보니 체감을 못하지만

 

가끔 동료와 외부에서 커피를 사마실 경우에 깜짝 놀라곤 합니다.

조금만 브랜드 있는 커피를 마시려고 하면 아메리카노 기준 5000원에 육박하는 금액이 나오더라고요

 

기분 좋게 동료 들고 번갈아 가면서 결제를 하긴 하지만 

부담스러운 것은 사실입니다.

 

커피는 워낙에 좋아하는지라 하루에 3잔 정도는 마시는데....

금액이 점점 부담스럽더라고요~

 

그러던 와중 커피의 원료인 원두금액이 상승한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출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7/0000170323

 

"원두 값 인상"…커피 가격 상승, 물가 상승률 6배

서민들에게 사랑받는 대표적인 기호식품인 커피 가격이 올 2분기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의 6배가 넘게 뛰어오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커피가격은 전 ..

n.news.naver.com

 

 

그래서 커피값이 상승하는 원인을 찾아보고 소소하지만 투자관점에서 어떠한 시사점이 있는지 정리하려고 합니다.^^

 


 

최근에 발표된 주요 커피 브랜드의 가격인상현황을 보면 

스타벅스 • 아메리카노 등 13종 음료 200원 인상• ‘오늘의 커피’ 톨 사이즈 300원 인상, 그란데/벤티 사이즈 100원 인상• 5개월 사이 3차례 가격 인상 2025년 1월 24일 원두 가격 상승, 환율 상승 등 제반 비용 상승
폴 바셋 • 카페라떼 200원 인상 (5900원), 룽고 400원 인상 (5300원)• 평균 3.4% 가격 인상28종 제품 가격 인상 2025년 1월 23일 원두 가격 상승, 환율 변화, 원부자재 가격 상승
할리스 200~500원 인상 2024년 12월부터 원두 가격 상승
네스프레소 • 캡슐 커피 최대 11.6% 인상 2025년 1월 원두 가격 상승
동서식품 롯데네슬레 • 믹스 커피 등 출고가 6~8.8% 인상 2024년 11월 원두 가격 상승

 

표에서 보시는 것처럼, 스타벅스, 폴 바셋, 할리스 등 주요 커피 프랜차이즈들이 원두 가격 상승환율 상승 등의 요인으로 인해 가격을 인상했습니다. 

이러한 가격 인상 추세는 커피 원두 가격 상승과 고환율 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아라비카 원두 가격이 급등하면서 대부분의 커피 전문점들이 가격 인상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개인브랜드 커피점도 마찬가지로 100~200원은 인상이 된듯하여, 특정 브랜드만의 문제는 아닌 듯합니다.

 

많이 이들이 원인으로 말하고 있는 원두가격의 상승을 보니 이해가 가긴 합니다. 

 

 

선물 가격 기준으로 1년을 확인해보니 약 95% 정도가 상승했더라고요.

 

제 월급은 그대로인데 커피원두마저도 많이 오르네요

 

그 외에도 

  • 생산량 감소: 주요 커피 생산국인 브라질과 베트남에서 발생한 가뭄과 폭우로 인해 커피 생산량이 급감했습니다. 브라질은 세계 아라비카 원두의 절반가량을 생산하지만, 가뭄으로 인해 생산량이 크게 줄었습니다.
  • 환율 상승: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면서 수입 원두 가격 부담이 가중되었습니다.
  • 선물 가격 급등: 런던 ICE에서 거래되는 로부스타 커피 선물 가격은 작년 대비 80% 상승했으며, 뉴욕 ICE에서 거래되는 아라비카 커피 선물 가격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재고 부족: 브라질의 재고 부족과 생산량 감소 우려로 인해 국제 아라비카 커피 가격이 파운드당 3.6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원두 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앞으로 커피시장의 변화에 대해 조금 생각해 보자면 

 

변화요인 세부내용 영향
가격 인상 지속 원두 가격 상승, 환율 상승, 인건비 및 물류비 증가 등으로 인한 커피 가격 지속적 상승 가능성 저가 커피 선호 심화, 커피 소비 감소, 고가 브랜드 피로도 증가
저가 브랜드 전략 메가MGC커피 등 저가 브랜드의 가격 경쟁력 유지 노력, 규모의 경제 활용, 소싱력 강화를 통한 원가 상승 압박 감내 시도 단기적 가격 경쟁력 유지 가능, 원두 가격 변동성에 따른 장기적 어려움 가능성
원두 시장 변동성 아라비카로부스타 원두 가격의 생산량 감소, 기상 이변, 환율 변동 등에 따른 급등락 가능성. 특히 브라질, 베트남 등 주요 생산국 작황 상황에 크게 영향 받음 커피 시장의 지속적인 불확실성 증가, 커피 가격 변동성 심화
프랜차이즈 대응 스타벅스, 폴 바셋, 할리스 등 대형 프랜차이즈의 가격 인상 지속 가능성. 브랜드 충성도 하락, 소비자 이탈 우려. 새로운 메뉴 개발,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등으로 경쟁력 유지 노력 브랜드 충성도 하락, 소비자 이탈 가능성, 경쟁 심화
커피 소비량 변화 한국인의 높은 1인당 커피 소비량에도 불구, 커피 가격 상승으로 인한 소비 감소 가능성. 가정에서 직접 커피 제조 또는 소비 자체 감소 전반적인 커피 소비 감소, 소비 패턴 변화
투자 관점 변화 물가 상승이 기업 매출 증가로 이어져 투자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 커피 가격 상승으로 인한 커피 관련 기업 투자 가능성 장기적 투자 기회 발생, 자산 증식 가능성

 

요약해보면 물가 상승은 기업의 매출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전체시장의 감소가 유발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커피를 좋아하는 사람으로 원두가격이 조금만 내려서 맘편히 마실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