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름 전자회사에서 15년 가까이 근무를 해서 최신 트렌드에 익숙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제가 알고 있는 Hardware 지식을 이미 사양사업이 되었는지 큰 의미가 없더라고요
더불어 Sixsigma MBB까지 가지고 있으나 빅데이터 시대에는 그 활용도가 많이 떨어진것 같습니다.
제가 알던 Hardware의 경우 시간과 경험이 무기가 되어 점점더 실력과 노하우가 쌓여가는 반면 Software를 개발하는 친구들은 새롭게 입사하고 연구한 친구들이 가장 잘한다고 하더라고요(관련 분야 15년차 선배의 말)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35.gif)
경험이 무기라고 생각했었는데 이러한 현상을 보니 조금은 슬펐습니다.
그래도 시대의 변화와 가장의 무게감을 이겨내고자 빅데이터 관련하여 여러가지 공부도하고 Python 수업도 듣고 있는데
단순히 공부한다고 해서 실무에 적용하지 않으니 배울 당시에는 기억이 잘 나지만 일주일만 지나도 많이 까먹는게 다반수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제대로 공부할겸 본격적으로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려고 준비하고 있습니다.
목표는 ADsP 자격증 취득후 ADP까지 취득을 하려고 하는데 공부한지 오래되어 머리가 잘 돌아가 줄지 걱정입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16.gif)
ADP와 ADsP를 잘 몰라 찾아보니 난이도 차이가 크게 나더라고요~^^
구분 | ADsP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 ADP (데이터 분석 전문가) |
시험 과목 | 데이터 이해, 데이터 분석 기획, 데이터 분석 | 데이터 이해, 데이터 처리 기술 이해, 데이터 분석 기획, 데이터 분석, 데이터 시각화 |
데이터 처리 기술 이해 | 제외됨 | 포함됨 |
비정형 데이터 마이닝 | 제외됨 | 포함됨 |
데이터 시각화 | 제외됨 | 포함됨 |
시험 형식 | 필기시험 (객관식 50문항) | 필기시험 (객관식 80문항, 서술형 1문항) 및 실기시험 (작업형) |
난이도 | ADP에 비해 낮음 | ADsP에 비해 높음 |
주요 평가 영역 | 데이터 분석 기획 및 분석 능력 | 데이터 처리 기술 이해, 데이터 분석 기획, 분석 및 시각화 능력 |
합격 기준 | 총점 60점 이상, 과목별 40% 이상 | 필기, 실기 각각 70점 이상, 과목별 40% 미만 취득 시 과락 |
R 프로그래밍 | 기초적인 이해 필요 | R 또는 파이썬 선택 가능 |
응시 자격 | 제한 없음 | 박사 학위 취득자, 학사 학위 취득 후 해당 분야 실무 경력 3년 이상인 자, 또는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자격 취득자 |
핵심 요약:
- ADsP는 준전문가 수준으로, 데이터 처리 기술 이해와 데이터 시각화 능력을 평가하지 않으며, 비정형 데이터 마이닝 부분도 제외됩니다.
- ADP는 전문가 수준으로, 데이터 처리 기술 이해와 데이터 시각화 능력을 평가하며, 비정형 데이터 마이닝을 포함한 데이터 마이닝 전반에 대한 지식을 요구합니다. 또한 실기시험이 추가되어 더 높은 수준의 능력을 요구합니다.
처음에는 호기롭게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관련하여 공부를 해보는 게 마냥 좋다고 생각했었는데, 관련 전공한 후배들과 이야기 해보니 그저 의지로만 도전하기에는 너무나 큰 벽이 존재한다고 판단되어 데이터관련 정리와 그 가운데 인사이트를 찾는 분야에 도전하기로 했습니다.
25년에는 4번의 응시기회가 있는데 44회를 접수하고 했으니 해외 출장중이라 결제를....
그래서 45회에 도전하기로 했습니다.^^
같이 공부하시는 분들 화이팅입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7.gif)
회차
|
원서 접수 기간
|
시험일
|
제44회
|
1월 20일 ~ 1월 24일
|
2월 22일 (토)
|
제45회
|
4월 14일 ~ 4월 18일
|
5월 17일 (토)
|
제46회
|
7월 7일 ~ 7월 11일
|
8월 9일 (토)
|
제47회
|
9월 22일 ~ 9월 26일
|
11월 2일 (토)
|
추가적으로 저보다 휠씬 뛰어난 분들이 많이 계신것으로 알고있는데 도움이 되실 데이터 관련 자격증 소개드립니다.
데이터 관련 자격증 비교
자격증주관 기관주요 내용응시 자격난이도특징
빅데이터분석기사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 빅데이터 분석 기획, 수집, 저장, 처리, 분석 및 시각화 | 대학 졸업자 또는 졸업 예정자, 기사 등급 이상 자격 취득자, 4년 이상 직장 경력자 | 비교적 높음 | 실무 중심, 비전공자도 도전 가능 |
데이터분석전문가(ADP)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 데이터 이해 및 처리 기술, 데이터 분석 기획, 데이터 분석, 시각화, 과학적 의사 결정 지원 | 박사 학위 취득자, 학사 학위 취득 후 3년 이상 실무 경력자,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자격 취득자 | 높음 | 전문성 강조, 필기 및 실기 시험 |
데이터분석준전문가(ADsP)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 데이터 이해, 데이터 분석 기획, 데이터 분석 | 제한 없음 | 중간 | 필기시험만으로 합격 가능, 데이터 분석 입문 |
SQL 전문가(SQLP)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 모델링 지식, SQL 작성, 데이터베이스 성능 최적화 | 학사 학위 이상 취득자, 데이터베이스 관련 자격 취득자, SQL 개발자 자격 취득자 | 어려움 | SQL 전문성 요구, 현직자도 어려워함 |
SQL 개발자(SQLD)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 모델링 지식, SQL 작성 | 제한 없음 | 비교적 쉬움 | SQL 입문, 비전공자도 도전 가능 |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40대 직업캠프: 재취업과 직업 전환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 안내 (14) | 2025.02.06 |
---|---|
중국 AI 챗봇 딥시크(DeepSeek)의 개인정보 유출 및 보안 논란: 2025년 현재, 사용해도 괜찮을까? (6) | 2025.02.04 |
딥시크 충격과 소버린 AI 경쟁 (1) | 2025.01.25 |
구글 노트북 LM 완벽 활용 가이드! (0) | 2025.01.17 |
이것만은 꼭 확인하세요! : 어린이 무선 헤드셋 심층 비교 가이드 (0) | 2025.01.12 |